그래도 가방!
결론부터 말하자면 현대 패션 비즈니스는 옷이 아닌 가방이 지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증명하듯 그 어느 때보다 가방, 가방에 대한 관심이 가장 뜨겁다.
사라진 ‘잇백’의 시대
‘잇백’의 시대가 있었다. 사람들이 해외 유명 브랜드의 가방 수집에 열광하던 2000년 중반, 첫 월급은 마크 제이콥스의 스탐에게 바쳤고, 그 다음 시즌은 입생로랑의 뮤즈백에 투자했다. 여기서 멈출 수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세 달 뒤의 카드 명세서에는 모터백의 내역이 6 개월 할부로 찍혀 있었다. 그 뒤로 더 많은 가방 덕분에 통장 잔고가 바닥 났다. 그 가방들은 몇 년 뒤 더스트백에 쌓여 패잔병처럼 옷장을 차지하거나 벼룩 시장에서 헐값에 팔려나갔다. 개성 강한 디자인의 가방이 올드 패션으로 느껴진 이유이기도 했지만 가방보다는 ‘스테이트먼트 피스(Statement Piece)’라는 컬렉션 의상을 탐했기 때문이다. 이건 개인적인 취향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패션 가치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소위 ‘명품’ 산업은 선택받은 로열층을 위한 전유물에서 벗어나야 했다. ‘나도 너를 갖고 싶다’는 욕망을 자극하는 동시에 실제로 충분한 고객들이 필요했다.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친히 가방에 이름을 지어주고 ‘린제이의 가방, ‘’시에나의 가방’이라는 셀러브리티 마케팅으로 가방을 팔았다. 그 이유는? 매우 간단명료하다. 가방이 돈이 되기 때문이다. 체형과 사이즈에 무관하게 모든 이에게 평등한, 그러면서 누구나 필요한, 동시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상업적으로 가장 유용하게 녹여낼 수 있는 아이템이므로. 가방은 패션의 판타지를 가능케 하는 에너지를 수급하는, 실질적으로 브랜드를 움직이는 공급원이다. 가방을 등에 업고 패션 하우스의 매출은 매 시즌 기록을 갱신하고 몸집을 불렸다. 하지만 패션 의본질과 가치의 하락이라는 비난을 피해갈 수 없었다. 그리하여 패션 하우스들은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영입하고, 자신들만의 헤리티지를 재해석하며 현실성에 기반을 둔 레디 투 웨어에 집중했다. 명분과 실적, 쿠튀르와 실용성을 모두 다 거머쥐기 위하여!
가방 붐이 다시 일다
‘잇백’ 몸살을 앓고 나서 레디 투 웨어의 시대가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디 투 웨어를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하우스로 이적하여 둥지를 틀자마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들은 제일 먼저 브랜드의 얼굴인 로고를 자신의 기호로 바꾸고, 그 다음 ‘시그니처 백’을 만드는 일에 착수했다. 피비 파일로는 가방으로는 그다지 재미를 못 본 세린느에게 러기지를, 조나단 앤더슨은 과거의 명성을 찾으려는 스페인 가죽 브랜드 로에베에게 퍼즐백을 안겨주었다. 다시 가방이 집중조명을 받게 될까 반신반의했지만 최근 하우스들은 꾸준히 가방에 집중해왔고 두 번째 가방 붐을 예고했다. 지금은? 마치 가스가 가득 차 부글거리며 터져버리기 일보 직전인 페트병 같은 포화상태이다. 최근 몇 달 동안 전해 들은 가방에 대한 이슈가 얼마나 많았던가? 가죽에 능숙한 올세인츠는 시그니처 아이템인 바이커 재킷에서 착안한 랠리백을 선보인 이후 본격적으로 여성 백 컬렉션을 론칭했고, 성적 판타지를 불러일으키는 슈즈의 정석, 마놀로 블라닉마저 시그니처 슈즈인 오카바, 보락 등을 꼭 닮은 클러치백으로 구성한 핸드백 컬렉션을 내놨다. 국내 시장에서는 쿠론의 성공 이후 패션 대기업들의 가방 브랜드 론칭이 줄을 잇고 있다. 제일모직이 라베노바로 가방 열풍에 합류했고, 액세서리 라인에서 두각을 나타낸 랑방 컬렉션은 아예 랑방 컬렉션 액세서리라는 브랜드를 독자적으로 분가시켰다. 발 빠르게 국내 시장을 개척한 루이까또즈, MCM, 제이에스티나는 공격적으로 중국 시장을 향한 전투를 본격화하겠다고 나섰다. 이 모든 것의 중심엔 가방이 있다. 2000년대 중반에도 그랬듯이 지금 다시 가방이 화두에 올랐다는 것은 SPA 브랜드의 홍수 속에서 가방만큼은 아직도 우리가 기꺼이 투자할 만한 가치를 지닌 패션 카테고리라는 방증이 아닐까.
최신기사
- 에디터
- 패션 에디터ㅣ남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