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엔 웨딩드레스뿐

연말 시상식의 레드 카펫은 브라이덜 컬렉션의 런웨이로 변해버렸다. 왜 그토록 아름다운 스타들이 신부 드레스를 입을 수밖에 없었을까?

별들의 전쟁

1 속이 훤히 비치는 드레스로 세련되고 당당한 노출을 선보인 배두나. 2 드레스가 아니더라도 베스트 드레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에반 레이첼 우드. 3 <라라스톤>의 미아를 떠올리게 한 엠마 스톤의 발렌티노 드레스. 4 나탈리 포트만은 우아함이 흐르는 프라다의 드레스를 선택했다. 5 자체 제작한 스퀘어 네크라인의 드레스를 입은 송혜교. 6 V넥의 우아한 웨딩드레스를 입은 혜리. 7 설현의 대담한 화이트 슈트 룩은 시선을 집중 시켰다. 8 김하늘은 결혼식에 이어 미라즈윌린저의 튤 드레스를 선택했다.

지난 12월의 끝자락. 연예대상, 연기대상, 가요대전이 이어진 연말 시상식이 끝나고 피처 에디터가 이렇게 물었다.“ 왜 우리나라 여배우들은 시상식에서 웨딩드레스를 입는 거야?” 올겨울 레드 카펫 룩의 트렌드는 놀랍게도 순백의 웨딩드레스 같은 스타일이 아니라 ‘웨딩드레스’였다. 합동결혼식이라도 하는 듯 말이다. 박신혜는 제니 팩햄의 2015년 브라이덜 컬렉션의 드레스를 입었고, 김하늘은 실제 자신의 결혼식에서 입었던 브랜드 미라 즈윌린저의 튤 드레스를 택했다. 김지원은 인발드로어의 가슴 이 깊게 파인 드레스를, 민효린은 웨딩드레스의 전형인 벨 실루엣의 튜브톱 웨딩드레스를 입었다. 송혜교는 레드 카펫용 드레스라고 하기엔 신부처럼 보이는 드레스를 자체 제작해 입어 의아함을 자아냈고, 혜리, 윤보미, 설현, 차오르 등 아이돌 멤버들 역시 어린 신부처럼 하얀 웨딩드레스를 입고 등장했다. 그들은 모두 청순했고 아름다웠고 고왔다.
그러나 머릿속엔 다이애나 브릴랜드의 말이 부유한다. “대다수 사람들이 가진 저급한 취향은 고상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압도하기도 한다. 천박한 저속함은 삶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우리 모두는 저급한 취향도 섭취할 필요가 있다. 그 어떤 스타일조차 없는 것이야말로 내가 가장 싫어하는 패션이다.” 이는 6년 전 쓴 ‘레드 카펫 콤플렉스’라는 칼럼에서 사용한 문구이기도 하다. 6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레드 카펫 룩에는 드레스만 있고 취향은 없나보다. 그래도 한 가지 나아진점이 있다면 눈살 찌푸리는 노출로 시선을 잡으려는 절박함은 사라졌다는 것이다. 가슴이나 데콜테를 드러내는 것이 문제는 아니다. 노출이 스타일의 중심일 땐 지혜로움, 자신감, 우아함이 필요하다. 지난 청룡영화제에서의 배두나처럼! 루이 비통의 블랙 시스루 드레스는 과감하고 섹시했지만 적당한 가림의 지혜가 있었고, 그녀에게는 여유가 묻어날 정도의자신감이 넘쳤다. 헤어 메이크업은 세련되고 우아했다. 배두나를 배두나답게, 그리고 아름답게 드러내는 노출의 좋은 예였다.

이 땅엔 웨딩드레스뿐
다시 웨딩드레스를 입은 스타들의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그들이 레드 카펫 위에서 취향을 포기해야 하는 데엔 그럴 만한 사정이 있다. 마땅히 입을 만한 것이 웨딩드레스밖에 없기 때문이다. 왜? 수요가 없으면 공급도 없으니까! 우리에겐 서양처럼 다양한 브랜드가 포진해 있지도 않고, 드레스를 입는 파티 문화가 아직 자리 잡지 않았다. 평생 살면서 드레스를 몇 번이나 입어보겠는가! 유치원 학예회, 결혼식, 파티 때는 칵테일 드레스 정도? 물론 우리나라에도 고가의 드레스를 입고 파티를 즐기는 상류층이 존재하기 마련이므로 하이 브랜드는 몇 벌씩 드레스 샘플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그마저도 몇몇의 톱 스타가 독식하거나, 매거진의 촬영기간과 겹치거나, 몸에 꼭 맞추기 어렵다는 난관에 봉착한다.
“모델 같은 몸이 아니기 때문에 체형을 보완해줄 수 있고,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실루엣의 드레스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웨딩드레스 숍을 택할 수밖에 없는 건 체형 별로 어울리는 드레스가 많기 때문이에요 . 하이 브랜드의 드레스를 협찬받아도 막상 피팅해보면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거든요.” 스타일리스트 시주희는 웨딩드레스 숍으로 향하는 스타일리스트의 고충을 이야기한다. 스타일리스트 최윤걸도 이 말에 동의한다. “착용이 가능한지 확실히 알 수 없는 드레스를 기다리는 일은 피가 마르죠. 해외에 샘플을 요청하면 일주일 이상 걸리는데, 그것만 하염없이 기다릴 수도 없어요. 웨딩 부티크에선 배우의 체형과 이미지에 맞게 제작까지 할 수 있어 선호해요. 문제는 모두가 그렇게 입어 개성이 없어졌다는 거지만요.” 결국 이 땅엔 스타들이 원하는 드레스가 거의 없다는 슬픈 사실만이 남았다. 더불어 그 이면엔 대중을 염두에 둔 심리적인 이유도 존재한다. 모 하이 브랜드 홍보 담당자의 말에 의하면 해외에서 공수한 드레스를 보내도 결국 웨딩드레스를 선택하는 스타도 있다는 것이다 . “샘플이 부족해 선택의 폭이 좁은 건 사실이죠.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우리나라 스타들이 ‘화이트 여신 룩’에 집착한다는 거예요. 더 솔직히 말하자면 스타가 아니라 스타 뒤에 숨어 있는 윗분들의 집착이죠. 본국에서 기꺼이 협찬해줄 의향이 있는 톱 스타도 웨딩드레스에서 벗어나지 못해요 . 대중들은 스타들이 그저 예쁜 여신처럼 보이길 원하고, 조금만 과감하거나 독특하면 워스트 드레서라고 폄하해버리죠.”

    에디터
    남지현
    포토그래퍼
    Gettyimages/Imazines, Jang Min Ah, Seok Y. Lee

    SNS 공유하기